인프라/Network
[Network] 허브, 스위치, 라우터? 자꾸 헷갈리는 용어 정리
copcat
2022. 1. 3. 18:44
자꾸만 헷갈리는 네트워크 접속장치 허브, 스위치, 라우터에 대해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허브(Hub)
허브는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해서 네트워크를 만들어주는 장치
- 데이터 패킷을 받으면 연결된 모든 장치들에게 모두 보냅니다.
- 모든 장치들이 데이터 패킷을 받고 자신에게 온 데이터 패킷인지 확인하고 필요하면 취득합니다.
- 즉, 단순 분배를 하는 중계 장치입니다.
- 허브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의 전체 대역폭을 노드 수만큼 분할하여 사용한다.
- 예를 들어, 원래 허브의 데이터 전송속도가 500Mbps라고 하면, 장치 5대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대역폭은 100Mbps로 나눠지게 됩니다.
- 리피터와 멀티허브의 역할
스위치 (Switch)
연결된 장치들의 IP와 MAC 주소를 모두 테이블 형태로 가지고, 원하는 목적지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장치
- IP와 MAC 주소를 기반으로 필요한 장치에게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해줍니다.
- 만약, IP주소와 Port에 일치하는 MAC 주소가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허브처럼 모든 장치들에게 다 데이터 패킷을 뿌려(포워딩해서) 테이블을 갱신
- 허브의 예제와 동일한 예제로, 장치가 5대가 연결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하나의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대역폭이 500Mbps로 유지됩니다.
- 계층에 따른 스위치
라우터(Router)
LAN(Local Area Network:근거리 통신망)을 연결해 주는 장치
- L3에서 작동하고 IP주소를 바탕으로 네트워크를 다른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 최종 목적지에 가기 위해 많은 경로들 중에 적절한 통신 경로를 결정하기 위하여 한 통신망에서 다른 통신망으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장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