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CvAq/btrpULDmcIP/AfgS4164WCci5bLNl1Kyk0/img.png)
1. 라우터의 동작 방식과 역할 경로지정 다양한 경로수집 후 최적의 경로를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한 뒤 패킷이 들어오면 도착지 IP주소를 라우팅 테이블과 비교해 최선의 경로로 패킷을 내보낸다. 브로드캐스트 컨트롤 들어온 패킷의 목적지 주소가 라우팅 테이블에 없으면 패킷을 버린다. 목적지가 없으면 모든 포트에 패킷을 전송하는 L2 스위치와 차이. 프로토콜 변환 패킷이 라우터에 들어오면 라우터는 2계층까지 헤더 정보를 벗겨내고 3계층 주소를 확인한다. 그리고 새로운 2계층 헤더를 만든다. 🎈경로 지정 - 라우팅/ 스위치 라우터는 패킷을 처리할 때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경로 정보를 얻어 경로 정보를 정리하는 역할 정리된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패킷을 포워딩하는 역할 라우팅 경로 정보를 얻어 최적의 경로를 라우팅..
자꾸만 헷갈리는 네트워크 접속장치 허브, 스위치, 라우터에 대해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허브(Hub) 허브는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해서 네트워크를 만들어주는 장치 데이터 패킷을 받으면 연결된 모든 장치들에게 모두 보냅니다. 모든 장치들이 데이터 패킷을 받고 자신에게 온 데이터 패킷인지 확인하고 필요하면 취득합니다. 즉, 단순 분배를 하는 중계 장치입니다. 허브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의 전체 대역폭을 노드 수만큼 분할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원래 허브의 데이터 전송속도가 500Mbps라고 하면, 장치 5대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대역폭은 100Mbps로 나눠지게 됩니다. 리피터와 멀티허브의 역할 스위치 (Switch) 연결된 장치들의 IP와 MAC 주소를 모두 테이블 형태로 가지고, 원하는 목적지..
- Total
- Today
- Yesterday
- 프로토콜
- ec2
- osi7계층
- s3
- SpringBoot
- Docker
- spring
- 계층
- 개발자
- 스위치
- 네트워크
- 라우팅
- java
- rds
- 자바
- Spring Boot
- 프로그래머스
- 알고리즘
- 개발
- 회고
- lambda
- dto
- 초보
- tcp
- 삽질
- 3Way Handshake
- aws
- 라우터
- 회고록
- .NE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