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라우터의 동작 방식과 역할
- 경로지정
- 다양한 경로수집 후 최적의 경로를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한 뒤 패킷이 들어오면 도착지 IP주소를 라우팅 테이블과 비교해 최선의 경로로 패킷을 내보낸다.
- 브로드캐스트 컨트롤
- 들어온 패킷의 목적지 주소가 라우팅 테이블에 없으면 패킷을 버린다.
- 목적지가 없으면 모든 포트에 패킷을 전송하는 L2 스위치와 차이.
- 프로토콜 변환
- 패킷이 라우터에 들어오면 라우터는 2계층까지 헤더 정보를 벗겨내고 3계층 주소를 확인한다. 그리고 새로운 2계층 헤더를 만든다.
🎈경로 지정 - 라우팅/ 스위치
라우터는 패킷을 처리할 때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 경로 정보를 얻어 경로 정보를 정리하는 역할
- 정리된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패킷을 포워딩하는 역할
라우팅
경로 정보를 얻어 최적의 경로를 라우팅 테이블에 올려 유지하는 과정
라우터가 경로 정보를 얻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IP주소를 입력하며 자연스럽게 인접 네트워크 정보를 얻는 방법 -Direct Connected
- 내가 갖고 있는 네트워크 - 우선순위 : 높음
- 관리자가 직접 정보 (목적지 네트워크과 넥스트 홉) 를 입력하는 방법 - Static Routing
- 내가 경로를 직접 지정한 네트워크 - 우선순위 : 중간
- 라우터끼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서로 경로 정보 교환하는 방법 - Dynamic Routing
- 경로를 전달받은 네트워크 - 우선순위 : 낮음
이 3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경로 정보 수집 및 최적의 경로를 찾아 라우팅 테이블을 만듭니다.
라우팅 테이블
- 목적지 주소
- 넥스트 홉 IP주소, 나가는 로컬 인터페이스(선택 가능)
- 출발지와 상관없이 목적지 주소와 라우팅 테이블을 비교해 포워딩 경로를 결정한다.
- 패킷이 들어오면 목적지 주소를 확인해 패킷을 넥스트 홉으로 포워딩한다.
- 넥스트 홉이란?
- 라우팅 테이블에서의 넥스트 홉 (Next Hop) 은 가장 인접한 라우터
- 넥스트 홉이란?
스위칭(라우터가 경로를 지정하는 방법)
패킷이 들어와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하고 최적의 경로를 찾아 외부로 포워딩 하는 작업
반응형
'인프라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TCP/IP 모델 간단정리 (0) | 2022.01.05 |
---|---|
[Network] 다항 코드 (0) | 2022.01.04 |
[Network] 통신 방식과 통신 형태 (0) | 2022.01.03 |
[Network] 허브, 스위치, 라우터? 자꾸 헷갈리는 용어 정리 (0) | 2022.01.03 |
[Network] 각 계층 별 스위치 (0) | 2022.01.03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spring
- 스위치
- 개발자
- ec2
- 계층
- tcp
- 라우터
- 자바
- java
- rds
- osi7계층
- Spring Boot
- s3
- 회고
- dto
- aws
- 프로그래머스
- 알고리즘
- 회고록
- 네트워크
- 삽질
- 초보
- 라우팅
- Docker
- .NET
- SpringBoot
- 3Way Handshake
- 프로토콜
- 개발
- lambd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