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 스위치는 L2로 데이터 링크 계층에 존재했었다. 하지만 계층에 따른 스위치가 존재하니, 계층에 따른 스위치에 대해 알아봅시다. Network Switch 네트워크 단위들을 연결하는 통신 장비로서 허브보다 전송 속도가 개선된 것이다. 간단히 스위치라고 불리며 , 스위칭 허브 , 포트 스위치 허브 라고도 한다. Switch 분류 L 2 스위치 : OSI Layer 2 에 속하는 장비로 MAC address 를 참조하여 스위치 L 3 스위치 : OSI Layer 3 에 속하는 장비로 IP 주소를 참조하여 스위치 L 4 스위치 : OSI Layer 3~4 에 속하는 장비로 IP 주소 및 TCP/UDP 포트 정보를 참조하여 스위치 L 7 스위치 : OSI Layer 3~7 에 속하는 장비로 IP 주소 , ..
이번에는 OSI 7Layer에 대해서 알아보자. OSI 모형(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SI 7 계층이라고 한다. -(출처:wiki) 간략하게 계층별 기능을 나열해보겠습니다. 물리 계층/1 - 물리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 물리적인 연결, 전기적.기계적. 기능적. 절차적인 수단 제공 대표 장비) UTP Cable, Repeater, Hub, ... 데이터 링크 계층/2 - 오류제어와 흐름제어를 담당 주소: MAC Address PDU : 프레임 헤더에는 송신지 주소와 수신지 주소가 있음 프레임의 수신지 주소는 ..
- Total
- Today
- Yesterday
- 개발
- 네트워크
- 회고
- .NET
- java
- Spring Boot
- rds
- ec2
- 3Way Handshake
- osi7계층
- 프로그래머스
- s3
- lambda
- spring
- 라우터
- 초보
- SpringBoot
- 삽질
- 라우팅
- 프로토콜
- Docker
- 개발자
- 자바
- dto
- 알고리즘
- aws
- 스위치
- 계층
- 회고록
- tcp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