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네트워크 통신 방식(LAN)

유니캐스트

  • 네트워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다.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1:1 통신 방식
  • 통신하려면 전송되는 프레임안에 항상 송신지, 수신지주소 즉, MAC 주소가 있어야 함
    • MAC 주소가 수신지 주소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해당 프레임 버림.

브로드캐스트

  • 로컬에 있는 모든 네트워크 단말기에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
  • 1:N 통신
  • 브로트캐스트의 주소는 FF-FF-FF-FF-FF-FF 로 미리 정해져 있다.
  • 수신을 원치 않는 클라이언트도 수신하게 되므로 네트워크 성능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멀티캐스트

  • 전송하려는 특정 그룹에게만 한번에 전송할 수 있다
  • 유니캐스트로 반복해서 보낼 필요없고, 브로드캐스트처럼 전송 받을 필요가 없는 컴퓨터에 보내지 않아도 된다.\

네트워크 접속형태

 

성형(Star)

  • 가장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성 형태
  • 하나의 케이블은 허브 같은 중앙의 네트워크 장치하고만 연결.
  • 중앙 집중적인 구조라 유지보수나 확장 용이하다.
  • 중앙 전송제어장치에 장애가 있으면 전체 동작불가.

버스형(Bus)

  •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노드가 전송을 하면 그것이 브로드캐스트 되어 다른 모든 노드가 수신할 수 있다.
  • 설치가 쉽고 저렴.
  • 성형이나 트리형 보다 사용하는 케이블양이 적음
  • 중앙 케이블이 고장나면 네트워크 동작x
  • 재구성이나 결합, 분리가 어렵다
  • 충돌 발생가능성 있음.

트리형(Tree)

  • 성형의 변형으로, 트리형태의 노드에 전송제어장치를 두어 노드들을 연결하는 형태.
  • 관리나 네트워크 확장이 쉽다.
  • 중앙에 트래픽이 집중되어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중아의 전송제어장치가 다운되면 전체 네트워크 장애 발생.

링형(Ring)

  •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와 재구성이 쉽고, 장애가 발생해도 복구시간이 빠르다.
  • 신호는 항상 순환되므로 한 장치에서 신호를 받지 못하면 경보를 내줌
  • 링을 제어하는 절차가 복잡
  • 새로운 장비를 연결하려면 링을 절단 후 장비를 추가해야 함

그물형(Mesh Topology)

  • 중앙에 제어하는 노드없이 모든 노드가 상호 간에 1:1 형태로 연결되어있는 상태
  • 신뢰성이 높아 중요한 네트워크에 주로 사용한다.
  • 일부 통신회선에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경로로 통하여 전송 가능
  • 설치와 재구성이 어렵다
  • 각 링크와 연결되는 하드웨어에 엄청난 비용이 들 수 있다.

혼합형(Hybrid Topology)

  • 사실 소규모 네트워크가 아니라면 순수 버스형,링형 같은 형태를 실제로 만나보긴 힘들다.
  • 효율을 높이고 결함 허용능력을 증가 시키기위해 혼합형 접속형태 사용
반응형

'인프라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다항 코드  (0) 2022.01.04
[Network] 라우터  (0) 2022.01.04
[Network] 허브, 스위치, 라우터? 자꾸 헷갈리는 용어 정리  (0) 2022.01.03
[Network] 각 계층 별 스위치  (0) 2022.01.03
[Network] OSI 7Layer  (0) 2022.01.03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